리스크관리에 대한 일반적 정의는 프로젝트 수행상 리스크를 인식하고 분석하여 그 방안을 강구하고, 사업위험을 최소화하는 것이다. 리스크관리를 광의로 보면, 단일 프로젝트에서 발생할 수 있는 품질, 원가만이 아닌 사업자의 재무, R&D, 구매, 영업 등 각 부문의 위험을 효율적으로 통제하기 위해 리스크를 통합 관리하는 전사적 리스크관리구축과 그를 관리하는 행위라 할 수 있다.
일반적으로 리스크 관리 단계는 식별, 분석/평가, 분류/배분, 대응, 시스템 구축등의 단계로 구분된다. 다양한 체계적 분석기법을 통해 리스크 인자의 결과적 중요도를 파악하고, 리스크를 제거하거나 감소하는 리스크를 보다 명확히 이해하고 대응하기 위한 대안 수립 가능성 여부를 판단한다. 이를 통해 프로젝트 의 가장 핵심적인 활동인 프로젝트 수익성 제고를 할 수 있으며, 대응 방안은 크게 이전, 완화, 보유, 회피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. 리스크 대응을 위한 행위에는 어떤 방식이건 그에 상응하는 비용이 수반된다.
리스크 대응을 통해 리스크가 감소할수록 비용 또한 그 만큼 추가 될 것이다. 그 점을 고려하여 최적의 리스크 대응방안을 수립하여야 한다.
출처 : 웹프로그램 및 데이타베이스 관심 북마크
글쓴이 : 나무남자 원글보기
메모 :